[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전당대회를 준비 중인 국민의힘을 향해 “초선 의원이 당 대표를 못하란 법은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본인의 국민의힘 복귀론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퇴임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
|
김 전 위원장은 2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초선이 당 대표가 되면 국민의힘이 근본적으로 변화했음을 국민에 보여주는 모습이 될 수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앞서 그는 지난달 4·7 재·보궐선거에서 서울·부산시장 선거를 승리로 장식하고 다음날 바로 퇴임했다. 현재 공석인 당 대표 자리는 김기현 신임 원내대표가 권한대행으로 맡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번 김 신임 원내대표의 당선에 대해 “당내에서 ‘영남당으로 회귀해선 안 되겠다’는 분위기도 있고, 선출과정에서 초선들의 역할이 상당히 작용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걸 봤을 때 다음 국민의힘 당 대표선거는 상당히 재밌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만 ‘국민의힘에서 다시 중요한 역할을 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돌아갈 것이냐’는 사회자 질문에 그는 “그런 일은 절대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언했다.
내년 대선에서 야권의 정권 창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번 보궐선거 결과를 보면 (내년) 정권교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면서도 “여권에서 이번 보궐선거의 참패를 어떻게 분석해서 대응하느냐에 달려있는데. 지금까지는 어떠한 반응도 별로 시원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이런 상황을 끌고 가게 되면 내년 정권교체는 당연하게 이뤄지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야권의 유력한 대선 주자로 떠오르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두고는 “이번에 대한민국 정치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보겠다고 생각한다면 아마 색다른 선택을 하게 될 것이다”면서도 “종전에 일반 정치인들이 추구하는 안이한 방식을 택한다면, 어느 정당을 택하거나 그럴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색다른 선택’은 제3지대 창당 등 독자 세력화, ‘안이한 방식’은 국민의힘 입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