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 이후 75년이 흘러 대한민국은 10대 경제대국, 5대 군사강국으로 도약했지만 참전유공자에 대한 처우는 처참하다. 국가보훈부가 2021년 진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참전유공자의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은 36.7%에 달했다. 홍 지회장은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게 아니라 국가에서 조금 더 신경 써줬으면 좋겠다는 것”이라며 “이제 6·25 용사들은 노쇠해 잘 듣지도 말하지도 못한다”고 울먹였다.
홍 지회장은 중학교 3학년 시절 고향에서 주민들이 인민재판으로 총살되는 모습을 보며 입대를 결심했다. 홍 지회장은 “인민재판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다리가 후들거려 잘 걷지를 못했다”며 “나라와 가족을 위해 입대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학도의용대로 입대한 홍 지회장은 의용경찰로 편입, 대둔산에서 북한군과 전쟁을 벌였다. 홍 지회장은 넘어져 손가락이 부러지고 총상을 입어 죽을 위기를 몇 차례 넘기기도 했다.
이들은 전쟁이 끝나고도 힘겨운 삶을 보냈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정책에 따라 농촌에서 일하게 된 홍 지회장은 야산을 개간해 뽕나무를 심는 일을 했다. 아무런 지원도 없이 약 1000평을 맨몸으로 개간하던 홍 지회장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농촌을 떠나야만 했다. 홍 지회장은 “농촌을 떠나고 보니 뼈와 가죽만 남았다”며 “우연히 경찰 모집을 보게 됐고 힘겹게 공부해 합격해 생활을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 같은 희생으로 대한민국이 강대국으로 부상했지만 참전용사들에 대한 대우는 그에 걸맞지 않다고 토로했다. 홍 지회장은 “무료급식소에 가면 6·25 참전용사 모자를 쓰고 밥 한 끼를 기다리는 노인들이 상당히 많다”며 “과거에는 폐지라도 주워 용돈 벌이를 했는데 이제는 건강의 문제로 폐지를 줍는 일도 못한다. 이들이 국가로부터 받는 수당은 월 45만원 남짓(지자체 별도). 매번 ‘최고의 대우’를 강조해왔던 역대 정부들의 방침과는 상반되는 금액이다.
참전용사들은 이제는 경제적 지원이 아닌 참전용사를 기억하고 이들의 후손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는 보훈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홍 지회장은 “돈의 문제가 아니라 (참전 용사들의 정신이) 후대에 기억될 수 있도록 후손들이 명맥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평균 아흔 살이 넘은 우리들이 사라지고 나서도 ‘참전용사들의 희생으로 우리가 잘 살고 있구나’라고 기억하고 느꼈으면 좋겠다”고 결연한 표정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