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일 경기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의 ‘그리다빈소’에는 위폐 2개와 빈 영정 액자가 놓여 있었다. 이날 빈소에서는 지난 3월과 4월 세상을 등진 무연고 사망자 2명의 합동 공영장례식이 열렸다. 연고자가 시신인수를 거부해 이곳에 온 이들이었다. 2평 남짓한 공간에는 장례지도사와 자원봉사자까지 총 7명이 있었다. 봉사자들은 10여 분 동안 추도문을 읽고 술과 음식, 큰절을 올렸다.
공영장례식에 참여한 봉사자들은 무연고 사망이 남의 일 같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1년 넘게 매주 공영장례 봉사에 참여한 이모(32)씨는 “1인 가구가 점점 증가하는데 무연고 사망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사회 상황인 것 같다”며 “주변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공영장례가 감사한 데 다른 사람의 일이라고 생각하니까 인식이 안 좋은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씨와 이날 장례식에 동참한 소지(37) 목사는 “친구끼리 장례를 치르고 싶어서 생일이 빠른 친구가 다른 친구를 입양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예로부터 한국의 전통 장례식은 마을 잔치였는데 근대화되면서 점점 개인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루 17명’ 무연고 사망…“높은 장례비에 시신 인수 거절”
|
장례식의 최근 평균 비용은 공식 통계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음식과 상복, 장례방식 등 선택사항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소비자원이 2015년 장사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 639명을 설문조사했을 때 장례부터 장묘까지 당시 총 장사(葬事) 비용은 평균 1380만 8000원으로 집계됐다. 10년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오늘날 장례비용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빈곤층이 저렴하게 장례를 치를 수 있는 공설장례식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2023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의 장례식장 1086개 중 정부나 지자체에서 설립한 공설장례식장은 79개(7.2%)에 불과했다. 대전과 광주는 공설장례식장이 없었고, 해당 시설이 1개뿐인 지역도 4곳에 달했다. 보건복지부의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을 통해 서울시 내 각 장례식장(61개)의 가장 저렴한 빈소와 접객실, 안치실의 하루 임대료를 전수조사한 결과 공설장례식장의 이용료는 사설 장례식장보다 약 2배 저렴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가족형태의 변화에 발맞춰 장례 인식과 환경이 달라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1인 가구 증가율이 높고 OECD 국가 중 사회 지지 네트워크가 가장 적은 나라로 꼽힌다”며 “단절과 고립이 무연고 사망이 증가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최근 존엄한 죽음에 관심이 늘고 있지만 그동안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는 관리가 미흡했다”며 “사설기관에서도 이들에 대한 장례 지원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가 관리체계를 보완하고 생전에 존중받는 죽음을 논의할 수 있도록 장례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