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헌 공약은 이 후보가 이날 오전 먼저 발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우원식 국회의장과 국민의힘이 추진하던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 실시에 선을 그었던 이 후보가 40여일 만에 구체적 개헌 청사진을 내놓은 것이다.
그는 특히 대통령 4년 연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과 함께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재의요구(거부)권 축소 △감사원 국회 이관 △비상계엄 선포권 국회 통제 강화 등 대통령 권한을 축소하는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가장 유력한 대권 주자임에도 대통령 권한 축소를 선제적으로 제시해 개헌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피력했다는 평가다.
이 후보의 개헌 공약 발표 약 7시간 후 김문수 후보도 전격적으로 개헌 공약을 내놓았다. 김 후보가 내놓은 개헌안의 핵심은 임기 단축이다. 그는 대통령 4년 중임제를 도입하되,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는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시켜 향후 국회의원 임기와 맞추자고 제안했다.
김 후보는 “이번에 당선되는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스스로 3년으로 단축하는 결단이 있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을 위해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두 후보 간 입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양측 모두 개헌 추진의 필요성에 공감한 만큼 대선 후 국회 개헌특위 구성 등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부적으로 입장이 극명해 국회 개헌특위 논의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