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불공정한 무역 관행과 세계적인 과잉 생산 능력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는 미국의 중요한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면서 “기존의 허점와 면제 조치를 없애기로 결정하면서 미국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근 현대제철이 미국에 철강 공장을 건설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을 언급했다.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8년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미국은 특정 국가에 면제를 부여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중국 등 과잉 철강·알루미늄 생산국이 이용할 수 있는 허점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면제의 목적이 훼손됐다”면서 면제나 예외 조항을 없앤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이 늘어날 것을 기대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미국 철강 공장은 2021년 가동률 80%를 기록했으나, 2022년과 2023년 각각 77.3%와 75.3%로 떨어졌다. 백악관은 이를 수입산 증가에서 찾으면서 관세 부과로 인해 경제적,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백악관은 “10%의 글로벌 관세가 경제 성장을 7280억 달러로 늘리고, 28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실질 가계 소득을 5.7% 증가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상건 전략기획본부 전무는 지난달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제철소 설립을) 지금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제철의 미국 현지 제철소 건설 계획이 확정된다면 업계에서는 연간 수백만 톤(t) 규모에 투자금도 10조원대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