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민주당은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을 최소화하고 소비자 부담을 덜어달라’고 요청했고 정부도 이를 검토하기로 했다.
추경 조기 집행 계획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박 수석대변인은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새 정부의 추경 예산 조기 집행 계획을 점검했다”며 “(민주)당은 경기 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르게 예산을 집행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름철 재난안전 대책도 논의됐다. 박 수석대변인은 “당정은 기후 변화로 전국 곳곳에서 국지성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상황을 고려해 풍수해 대책을 논의했다”며 “당은 과거 인명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했던 산사태, 하천, 재해, 지하 공간 등에 대해 철저히 관리해 줄 것을 정부에 강하게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폭염 대응 방안도 주요 의제로 언급됐다. 정부는 폭염 취약계층을 위한 냉방 물품 지원과 행동 요령 홍보를 강화하고, 무더위 쉼터를 확대해 열대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늘막 설치와 도심지 살수차 물 뿌리기를 확대해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점도 보고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같은 부분을 우려했다. 그는 내각 구성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민주당에 협조를 요청했다.
강 실장은 “인사청문회가 도입된 2005년 이후, 인수위를 거쳤던 이명박 정부의 내각 구성에는 17일이 소요됐지만 인수위 없이 출범했던 문재인 정부는 195일이 걸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도 출범 한 달 만에 간신히 총리만 취임하게 됐다”며 “청문 절차가 지연되면 이후 일정도 불가피하게 밀리고 예측이 어려워진다. 이런 걱정과 두려움이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