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유망 구조 중 하나인 ‘대왕고래’에 대한 47일간의 첫 탐사시추 직후인 지난 6일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말했다. 최종 분석 결과는 8월쯤 나올 예정이고, 7개 유망 구조 중 최소 5차례의 탐사시추라는 기존 계획은 이제 막 시작한 단계이지만, 이번 시추만으로 상업가스전을 개발할 수 없다는 것만은 확인한 것이다.
|
|
갑작스러운 국정 브리핑…정치 공방으로 비화
정부가 올 6월 이 프로젝트를 발표한 방식은 갑작스러웠고, 자연스레 시작 때부터 여러 의혹이 뒤따랐다. 지난해 6월3일. 이 프로젝트를 알린 윤 대통령의 첫 국정브리핑은 주무부처인 산업부나 사업 주체인 한국석유공사 실무진도 알지 못한 갑작스러운 일이었다. 또 거기서 언급된 140억배럴의 최대치의 매장량, 이것이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라는 부풀려진 발표는 사람들의 머릿속에 각인돼 큰 기대감과 함께 큰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
|
이 프로젝트의 가장 결정적인 악재는 대한민국을 뒤흔든 12월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였다. 탐사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대왕고래 시추를 위해 부산항으로 향하던 때였다. 야권은 ‘윤 대통령의 정책’이란 꼬리표가 붙어버린 이 사업 정부 예산 497억원 전액 삭감해버렸고, 석유공사가 1000억원의 비용을 전액 부담하게 됐다. 이제 막 시작한 이 프로젝트가 더 진행될지도 불확실하게 된 것이다.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올 3월로 예정된 해외 투자유치 절차를 밟아 2차 탐사시추에 나설 계획이지만, 정국 혼란 속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와 국회의 동의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대통령 발표 훨씬 전부터 시작된 산유국 복귀의 꿈
|
이 프로젝트를 추진한 배경에는 잃어버린 산유국의 지위를 되찾겠다는 취지도 있다. 석유공사는 앞선 1998년 동해-1·동해-2 가스전 탐사시추에 성공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상업운전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 총 1조2000억원을 들여 개발한 이곳은 17년간 4500만배럴의 가스 등을 생산해 2조6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우리나라를 잠시나마 95번째 산유국의 반열에 올랐었다.
이번 프로젝트와 앞선 동해-1·동해-2 가스전 개발 때와 가장 큰 차이는 파 내려가는 깊이다. 이전까진 얕은 바다(천해)에서만 시추 시도가 이뤄졌는데, 시추 기술의 발달로 경제성 있는 심해 개발이 가능해졌다. 실제 2016년 아프리카 가이아나에서 110억배럴 규모의 심해 유전 겸 가스전이 나오기도 했다.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던 동해 원유·가스전 개발 기대감이 다시 커질 수 있었던 배경이다. 이번 첫 시추 때도 1260m 수심의 바닥을 1760m 파서 기초 데이터를 수집했다. 수면 기준 총 3021m를 내려간 것이다. 비록 이번 시추가 곧바로 상업 가스전 개발로 직접 이어지지는 않지만 이번 정밀분석 결과가 직접 파보지 않은 채 만들어졌던 기존 연구 자료를 보완할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 3월 개시 해외투자 유치에 마지막 희망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에도 아직 기회는 남았다. 이 계획을 발표한 대통령이 구속된 상황에서, 처음 시추하자마자 기름이 콸콸 쏟아지는 드라마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았지만, 정치적 영향을 배제하면 프로젝트가 이제 막 본궤도에 오른 것뿐이다.
|
정국 혼란 속 정부 차원의 전폭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 그러나 정부와 석유공사는 어차피 2차 시추 이후부터는 해외 투자유치를 받아 추진키로 한 만큼, 이후부터는 리스크 분산과 성공 때의 지분 배분의 문제다. 가이아나 심해 유전·가스전 역시 대부분 미국 텍사스 메이저 오일 기업이 투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가이아나 정부는 결과적으로 ‘과실’이 적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사업 초기 리스크를 거의 떠안지 않았다.
석유공사도 이미 2차 이후의 시추를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주요 메이저 오일 회사를 대상으로 사전설명회를 열었고 올 3월 말께 투자유치 절차를 시작할 계획이다. 한국 지분 확보를 위해선 결국 국민적 동의가 뒤따라야 하지만, 축적한 데이터를 토대로 국내외 투자유치 성공 땐 재평가받을 여지도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일 YTN 뉴스PLUS에 출연해 “대왕고래에 상업 개발 가능한 가스는 없었지만 ‘땅속 가스통’으로 볼 수 있는 석유 시스템이 확인된 만큼 나머지 유망구조에 대한 후속 탐사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모든 개발비를 해외 투자에 의존한다면 추후 국부 유출 문제가 있는 만큼 국회가 허락해준다면 우리 예산으로 참여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달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며 자국 우선주의가 본격화한 국제 정세도 에너지 안보를 위한 자국 내 에너지 개발 필요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한국은 필수 에너지원인 원유와 가스를 전량 수입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원유 수입액이 854억달러, 가스 수입액이 347억달러로 이 두 품목이 우리 전체 수입액의 5분의 1에 이른다.
우리는 그러나 10여 년 전 이명박 정부 때 자원개발에 덧씌워진 자원 개발에 대한 부정적 인식 탓에 제대로 된 시도조차 해보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자국 내 시추 회수가 71번에 불과하다. 중국은 4만9000여번, 일본은 813번을 시추한 것과 비교하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 이대로면 한중일 3국이 해양 권리를 주장하는 제7광구 개발 주도권 경쟁에서도 뒤처질 수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