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을 겨냥해 “AI를 모르면 좀 가만히 계셔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
이재명 전 대표가 추진 중인 ‘한국형 챗GPT’와 관련해 김 전 의원은 “전 국민이 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만 글로벌 빅테크의 독점에 대응할 수 있다”며 “AI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AI 기술은 이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며 “지금 우리가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데이터, 산업, 비즈니스 전반이 외국 플랫폼에 종속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김 전 의원은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도 명확히 제시했다. “정부는 초기 인프라 구축과 규제 개선, 법적 기반 마련을 서둘러야 하며, 민간은 혁신적인 AI 서비스 개발과 데이터 축적을 통해 플랫폼 확장에 나서야 한다”며 “이재명 전 대표의 ‘전국민 무료 AI 활용’ 구상은 바로 이런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안철수 의원의 비판에 대해서는 “피상적인 공격에 불과하다”고 일축하며 “AI로 노동시간이 줄면 워라밸이 실현될 수 있다는 이재명 전 대표의 구상을 비웃기 전에 우리 생태계와 플랫폼 전략에 대한 고민부터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안철수 의원은 스스로를 ‘AI 전문가’라 부르지만, 왜 정작 플랫폼과 생태계의 중요성은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비판에 머무르지 말고 실질적인 대안과 협력 방안을 제시해달라. 지금이야말로 이재명 전 대표의 제안에 힘을 실어줄 때”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14일 AI 100조원 투자, ‘한국형 챗GPT’ 전국민 무료 사용, 국가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 등을 골자로 한 ‘AI 기본 사회’ 정책 구상을 발표하며 AI 공약을 본격화했다. 이 공약은 대선 정책 대결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