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명계인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선캠프 정무실장)은 16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와의 인터뷰에서 “그런 (적폐청산과 같은) 방식으로 가는 것은 국가와 나라를 위해서 별로 좋은 방식은 아니라고 본다”며 “그런 방식으로 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 후보가 얘기했듯이 이 위기 속에 정책의 선후, 경중을 따졌을 때 그것을 먼저 하기엔 대한민국의 위기가 너무 크다”며 “정말 문제가 있는 내란과 계엄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한정해 책임을 묻지, 그것을 넓게 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홍준표 국무총리설’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것 같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지금 대선이 진행되고 있고 (공식 선거운동기간이) 일주일도 안 됐는데 벌써 총리 얘기가 나오는 건 너무 빨랐고, 그렇다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총리 임명은) 중요한 인사이기 때문에, 이 후보가 얘기했듯이 대선이 끝난 직후 판단 하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보수 인사들의 기본 원칙이 자유, 민주주의, 법치, 헌정질서, 공동체의 삶 이런 부분들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만들어 나가는 가장 큰 그릇인 국가와 정부를 지키고자 하는 지향과 방향이 있다”며 “(이 후보와) 그 지향과 방향은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 후보의 경제정책이 문재인정부와는 다를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과거 정부처럼 너무 둔탁하게 일률적으로 하지 않고 좀 유연하게 경제 정책을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일자리와 관련해서도 “민간 베이스에서 좋은 기업들이 경제가 나아지면서 그에 따라 경제의 시스템 내에서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저는 규제 완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부동산에 대해서도 수도권 1가구 1주택에 대해서는 종부세 등을 현실화시켜, 사는 집에 대해선 세금이 과다해서 부담이 오는 것을 완화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좀 더 실용적으로 조세 정책, 경제 정책을 만들어 간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