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의원은 “지난해 12월 곽 사령관은 ‘안에 있는 의원들을 밖으로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홍 전 1차장은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는 대통령 전화를 받았고,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이재명·한동훈·우원식 등 15명 내외를 체포하라는 요청도 받았다’라고 말하면서 당시 메모했다는 체포 명단도 물증이라 공개했다”며 당시 주요 증인들의 진술을 열거했다.
그러면서 “이들 증인의 말을 근거로 이후 모든 정국의 흐름은 ‘계엄이 곧 내란’이라는 전제로 진행됐다. 그리고 야당은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내란 특검법을 발의해 통과시켰다”며 “이후 공수처의 무리한 대통령 체포도 내란이라는 명분 아래서 강행됐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은 검찰 공소장 내용을 전면 부인하고 있고, 국회에서 빼내라고 한 것은 ‘의원’이 아니라 ‘(특전사) 요원’이고, 기재부 장관이 받았다는 쪽지도 대통령이 아니라 자신이 작성해 전달했다고 증언했다”며 “대통령에게 정치인 체포를 지시받은 사실도 없다고 했다”며 증거의 오염 가능성 등을 제기했다.
또한 ‘체포 명단’을 폭로했던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은 ‘오염된 메모’ 논란을 자초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홍장원 1차장은)여 사령관에게 체포 대상을 통보받을 때 받아 적었다던 메모가 원본이 아니라고 밝혔다. 나중에 기억을 떠올려 보좌관에게 옮겨 적게 하고 자신이 가필한 메모이며, 원본은 버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메모장에 적힌 필체도 일부가 미묘하게 달라 한 명 이상이 모의해서 작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주요 증인을 사전에 만나 증언의 오염을 유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민주당 김병주. 박선원 의원 등에 대해 증인 매수와 증언 왜곡에 대한 진상조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주요 증인들의 위증과 증인 매수 의혹을 받고 있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김병주, 박선원 의원 등을 당과 국민의 이름으로 고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