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지난 7일 국회의장실에 10~11일 중으로 합의했던 국정협의회 4자(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회담 연기 입장을 전달했다. 실무협의에서 4자 회담을 합의한 지 사흘 만에 합의를 파기한 것이다.
국민의힘은 국정협의회의 핵심 의제인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 관련한 이견을 이유로 들었다. 민주당이 주 52시간 특례 조항을 뺀 반도체특별법에 대한 우선 처리를 주장하고 있고, 연금개혁 관련 모수 개혁을 보건복지위원회 소위서 강행처리할 수 있다고 밝힌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국민의힘은 한 발 더 나아가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에 대한 합의가 선제돼야 추경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여당이 추진하는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특위 내 연금 개혁안 논의가 선행돼야 야당이 원하는 추경 논의에 동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발끈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반도체특별법 처리 후 추경을 논의할 수 있다는 국민의힘의 연계 전략도 납득할 수 없지만, 이제는 한술 더 떠 추경을 연금개혁특위 설치와도 연계하는 듯한 태도는 더욱 납득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한민수 대변인도 “하루하루를 버틸 힘도 없는 자영업자분들의 절규에 조금도 공감을 못 하니 말도 안 되는 억지를 부리며 협상테이블을 뒤집어엎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밤을 새워서라도 토론을 벌여 합의된 부분이라도 법을 개정하고 하루라도 빨리 추경안을 마련해 처리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여당이 추경 논의 선행 조건으로 내건 반도체특별법, 연금 모수개혁 법안에 대해선 여야 모두 입장이 확고한 상황이다. 결국 여야 한쪽이 이와 관련해 양보를 하지 않는 한 추경 논의는 당분간 공전을 거듭하게 될 전망이다. 더욱이 이번 주 양당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이 연이어 예정돼 있어 양당 간 갈등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