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23일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국에서 30건의 산불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며 “이재민들과 모든 피해자분들께 위로를 드리며, 진화대원과 공무원 여러분의 안전을 기도한다”고 썼다.
윤 대통령은 또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게 “가용한 자산을 총동원해서 산불을 빨리 진화하고 이재민들을 잘 도와주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으로 지난 7일 한남동 관저로 돌아간 윤 대통령은 그동안 외부 활동은 물론 공식 메시지를 자제해 왔다. 앞서 지난 20일 인요한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탄핵 반대를 주장하며 단식하는 지지층 건강을 걱정하는 메시지와 이번 산불 진화 지시가 전부다. 일각에서 헌재 판결 때까지 지지층 결집을 위해 여론전을 펼칠 것이란 예상이 빗나간 것이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석방 직후 본인 SNS에 “불법을 바로 잡아준 중앙지법 재판부의 용기와 결단에 감사드린다”고 썼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헌재의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에도 사법체계를 부정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지적하는 내용이 들어간 만큼 굳이 탄핵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한 행동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헌재 선고 이후 승복하겠다는 공식 메시지는 직접적으로 내지는 않았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다만 윤 대통령의 구속 취소 결정 직후 “조속한 직무 복귀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낸 것 외에는 별도 메시지는 없었다. 윤 대통령이 석방 직후 ‘국정 운영의 중심은 대통령실’이라고 당부를 한 만큼 차분히 헌재 선고를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직무 복귀를 대비해 주요 참모들이 관저에서 현안 관련 보고를 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갤럽이 지난 2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질문에는 58%가 찬성, 36%가 반대했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조기 대선을 가정한 질문에 대해선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39%,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51%로 나타났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3.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