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다롄과 시안 연구진이 초소형 위성(큐브샛)인 ‘다렌-1 리안리’에서 1000이상 이상 궤도 시험을 진행해 화웨이 오픈소스 운영 플랫폼의 경량 버전인 오픈하모니 실시간 운영 체제(RTOS)의 위성 하위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즉 중국 연구진이 초소형 위성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OS를 적용했다는 말이다.
이번 논문 주저자인 다롄이공대의 위샤오저우 교수는 지난달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리안리 위성 임무는 오픈하모니 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함으로써 위성의 반응 속도와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위 박사 연구진은 리안리에 탑재된 3개의 핵심 하위 시스템에 오픈하모니 RTOS를 설치했는데 모두 임무 수행 내내 원활하게 작동했다. 오픈하머니 적용 후 2마이크로초(1마이크로=100만분의 1)만에 작업에 응답하고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지속적인 데이터 업데이트를 지원했다. 덕분에 위성은 1미터 미만 정확도로 고해상도 지구 이미지를 촬영했다.
오픈하모니 RTOS를 탑재한 리안리는 중국산 칩으로 구동됐다. 이는 전세계 우주선 OS에 새로운 옵션을 제공한 것이라고 현지 매체들은 평가했다. 오픈하모니는 미국 제재에 대응해 개발한 화웨이 OS인 ‘하모니’의 오픈소스 버전이다.
SCMP는 “미국은 2019년 화웨이를 무역 블랙리스트에 올려 구글 서비스와 첨단 칩을 포함한 미국 기술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는데 이는 OS를 포함한 중국의 자립을 향한 노력을 가속화하는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위 교수는 “오랫동안 중국은 우주용 자체 OS가 부족해 대부분의 소형 위성은 오픈소스 무료 RTOS에 의존했으나 어려움에 빠졌다”면서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중국 기술 개발의 주요 과제가 됐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