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시는 차량 가격 부담과 충전 불편을 해소하고자 △보조금 지원 확대 △KS표준 교환형 충전시설 확충 △민관 협력을 통한 지원 확대 등 3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선다.
시는 배달업 종사자와 소상공인 등 상업용 전기이륜차 이용자의 구매 부담을 완화하고자 한시적으로 보조금 지원 등을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한다. 기존 10%였던 배달용 차량의 시 구매보조금을 30%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차량의 구매보조금 20%를 추가한다. 또한 배터리 교환형(공유형) 전기이륜차에도 구매보조금 30%를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배달업이 활발한 대학가(안암동, 신림동 등)와 주요 상권 밀집 지역 20개 행정동에 우선으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배달 종사자의 충전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차량 가격 할인에 참여하는 제조사는 공고를 통해 모집할 예정이며, 현재 10개 사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고 시는 전했다.
또 디앤에이모터스, 젠트로피 등 배터리 교환형 충전사업자는 배터리 이용료를 최대 20%가량 할인할 예정이다.
상반기 보조금 신청접수는 오는 4월 1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 보조금은 규모와 유형, 성능에 따라 차등 책정된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시는 배달업 종사자들이 부담 없이 전기이륜차로 전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도심 내 활용이 많은 배달 이륜차가 전동화되면 소음과 매연, 대기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민관이 힘을 모아 조용하고 깨끗한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