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원내대표는 “지금 이재명 대표는 800만 달러 불법 대북송금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며 “공범인 이화영 전 경기부지사는 이미 2심에서 7년 8개월의 중형을 선고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불법 대북송금은 유엔과 미국의 제대 대상이자, 연루된 사람과 단체도 모두 세컨더리 보이콧 대상”이라며 “이재명 대표가 말로만 한미동맹과 한미일협력 지지를 시늉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이어 “이러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민주당이 정쟁을 부추긴다”며 “지금도 내란 프레임이 통하지 않으니, 망상 소설에 기반한 명태균 특검법으로 국정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원내대표는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 소추로 인한 ‘대행의 대행’ 체제로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에 대응하기 역부족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대미 무역 흑자가 큰 나라부터 국가별 협상을 시작해 4월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며 “정부는 지금의 골든타임을 허지하지 말고, 민관의 대미 협력 채널을 총동원해 총력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이러한 긴박한 정세 속에서도 한국은 대통령과 국무총리 동시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신속한 대처를 지휘해야 할 대미 외교 컨트롤타워 부재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런 시기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직무 정지로 발이 묶여 있다”며 “지난 12월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 벌인 한덕수 대행에 대한 억지 탄핵의 결과가 작금의 외교통상 난맥상”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파적 이익을 위해 외교를 발목 잡고, 국익을 희생시킨 것”이라며 “권력을 잡기 위해 나라를 망치는 게 이재명식 정치의 본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미국 관세 폭탄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며 “특히 한 대행 탄핵소추 자체가 유효한지를 따지는 권한쟁의심판과 효력정지 가처분부터 결론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