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효지 SK증권 연구원은 “작년까지 카카오는 피어 대비 AI 기술 및 전략 측면에서 상당히 뒤쳐져있다고 평가받았지만 연초 오픈AI 와의 협력 소식과 함께 2월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준비 중인 AI 서비스들에 대한 실마리를 공개하며 AI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고 밝혔다.
남 연구원은 “자체 언어모델인 카나나뿐만 아니라 글로벌 오픈소스 LLM 의 API 를 조합해 카카오의 서비스에 적합한 생성 AI 를 구축한다. 연내 ‘AI 메이트‘, ’카나나‘, ’생성형 AI 검색‘, AI 에이전트의 공개를 앞두고 있다”고 전했다.
는 에이전트와는 다르다. 카카오는 국내에서 높은 점유율로 메신저, 금융, 모빌리티,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는 한국형 AI 에이전트를 목표하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유사한 사례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알리바바와 메타의 AI 서비스가 있다”며 “알리바바는 별도 AI 앱을 통해 그룹 생태계 내 금융, 쇼핑, 지도, 물류 서비스를 연계했다는 점과 유사하고, 메타와는 메신저에 개인화된 디지털 비서를 적용해 브랜드-소비자간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