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배당절차는 연말에 배당받을 주주를 먼저 확정한 후, 이듬해 3월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절차로 인해 배당금이 확정되기 전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는 ‘깜깜이 배당’ 문제로 주주의 어려움이 있었다.
하스는 개선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정관을 일부 변경해 배당절차 선진화 개선안을 반영했다. 개정된 정관에는 ‘이사회 결의로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해야 하며, 그 경우 기준일의 2주 전에 공고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주주는 배당 규모를 사전에 파악하여 투자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배당절차 선진화를 통해 주주가 배당 규모를 미리 확인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정관 일부를 변경했다”고 말하며, “이러한 선배당 후투자 방식으로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향후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하스 김용수 대표이사는 “하스는 기술 특례 상장 이후에도 꾸준히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며 주주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하며, “이번 배당절차 선진화 방안을 통해 주주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영 철학을 실천하고, 정부의 밸류업 기조에 적극 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