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버에 따르면 그의 작은 딸은 지난 연말 안와연조직염을 진단받고 시카고 병원에 입원했다가 수술 뒤 입원 8일 차에 퇴원할 수 있었다.
유튜버는 “미국에서는 병원비나 약값을 휴대전화 앱을 통해 먼저 확인할 수 있기에 앱에 먼저 비용이 업데이트 되면 집으로 청구서가 날아오는 구조”라고 설명하며 “제가 옛날에 애 낳을 때도 보니까 병원비가 한 개가 아니라 여러 개다. 같은 병원의 병원비가 여러 개 따로 날아온다”고 말했다. 그런데 딸의 퇴원 후 날아온 청구서 속 금액을 보고 놀랄 수 밖에 없었다고.
그는 “요즘도 병원 계속 다니는데, 다 빼고 아팠을 당시 일주일 입원했을 때의 병원비”라며 영수증을 공개했다.
구체적인 청구 내역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한 영수증에만 7만 8264달러(약 1억 1400만 원)이 청구된 내역을 볼 수 있었다. 그 중 가장 적게 청구된 금액은 383달러(약 55만 5000원)였다.
|
그럼에도 유튜버는 “병원비가 이렇게 나와도 다 커버되지는 않는다. 작은 딸 낳았을 때, 그때는 더 좋은 보험이 있었는데도 어떤 건 보험으로 커버 안 된다고 했다”며 “내 생각에 결국은 6500달러보다 더 낼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러자 남편은 “1년이면 100만불은 내야 한다. 그래서 보험이 있어야 하는 거다. 보험이 없으면 그야말로 인생을 망칠 수도 있다. 파산 신청해야 한다”고 했고, 유튜버는 “근데 누가 일주일 입원하는데 이만큼 내는 거냐? 이 정도면 1년을 입원해야 하는 돈 아니냐”며 한국과 다른 의료 시스템에 황당함을 나타냈다.
유튜버는 “만약 보험이 없으면 협상해서 할인받을 수 있다”고 했지만 남편은 “나 응급실 하룻밤 지냈던 거 기억 나냐? 3만 3000달러(약 4700만 원)였다”고 덧붙여 경악케 했다.
그러면서 유튜버는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충격”이라며 “저희가 다달이 내는 보험료도 적지 않다. 그래도 혹시나 큰일로 병원에 가면 이렇게 억 단위로 병원비가 나오니 다달이 보험료를 낼 수밖에 없다. 특히나 아이들이 있으면 보험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같은 미국 내 의료비 논란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인 일론 머스크는 공공의료 보험시스템 개선을 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는 각각 65세 이상 노인과 저소득층 대상 공공 의료보험으로, 1억 40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에게 보험을 제공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DOGE 소속 직원들은 공공의료보험서비스센터(CMS)에 상주하며 주요 결제·지출 명세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와 관련 머스크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여기가 큰 사기가 일어나는 곳”이라는 글을 올려 효율화에 대한 변화를 꾀할 것을 짐작케 했다.
실제 CMS 관계자는 WSJ에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에 부합하도록 더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방법이 없는지 고심 중”이라고 밝혀 이들의 행보에 더욱 눈길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