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간 삼각지역 인근에서 화방을 운영한 김모(60·여)씨는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한 후 집회·시위에 교통혼잡까지 극심해져 찾아오는 손님들마다 불만을 토로한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지난 14일 집무실이 있는 국방부 청사 앞에서 집회에 이어 행진이 벌어지면서 상당한 불편을 겪었다고 했다.
김씨는 “토요일도 집회 때문에 교통이 마비돼서 ‘20분 거리를 2시간 걸려서 왔다’고 손님들이 짜증 냈다”며 “우린 큰 액자만 취급해서 가게 앞에 잠깐 주차해서 손님들이 물건을 가져가는데 도로가 통제되니까 주차할 데가 없어서 아예 안 온다는 전화도 많다”고 한숨 쉬었다.
|
나들이를 나온 주민들과 더불어 전쟁 기념관을 찾은 주말 방문객, 집무실을 구경하기 위해 지방에서 온 시민들이 모이면서 국방부 청사 인근은 사람들로 가득했다. 일부 시민들은 곳곳에 보초를 서는 경찰관에게 “저기가 대통령실이에요?”, “대통령은 어디에 있는 거에요?”라고 물었고, 삼각지역 인근 사거리는 국방부 청사로 우회전하는 차량이 몰리면서 400m가량 정체가 발생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출·퇴근으로 인한 교통혼잡은 용산 한남동 외교부 장관 관저의 리모델링이 끝나는 한 달 가량만 참으면 되지만, 집회·시위는 앞으로 계속될 것이란 게 더 큰 ‘스트레스’라고 주민들은 입을 모은다. 전날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무지개행동)은 용산역 광장부터 삼각지역을 거쳐 녹사평역 이태원광장까지 2.5㎞ 구간을 행진했다. 법원 결정으로 이날 집회·행진을 허용한 경찰은 ‘집무실 100m 이내 집회 금지’ 원칙을 얻어내기 위해 법원에 항소했지만 법원 판단이 어떻게 나올진 예단이 어렵다.
주민들은 법원 판단에 촉각을 세우면서 자체적으로도 ‘살 길’을 모색하려는 분위기다. 동부이촌동 입주자 온라인 커뮤니티엔 “이런 소음이 계속되면 동네 차원에서 대응이 절실해 보인다”는 등의 글이 올라왔다. 용산역 주변 7개 단지 입주자대표협의회(입대의)는 주민들을 상대로 집회로 인한 주거환경 침해를 호소하는 탄원서를 받아 용산경찰서와 용산구청 등에 제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출퇴근 진출입로를 주거단지와 가까운 미군 13 게이트가 아닌 곳으로 옮겨줄 것과 각종 집회 차단 대책 마련을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