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카하라 나오키 조교 [사진=NHK 캡처] |
|
[이데일리 e뉴스 조유송 인턴기자] 까마귀가 최소 40가지의 말을 구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향후 인간이 까마귀를 컨트롤할 수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언어 연구가인 일본 국립종합연구대학원 대학의 쓰카하라 나오키 조교는 지난 15년간 2000개 이상의 까마귀 울음소리를 분석해왔다고 NHK가 1일 보도했다.
쓰카하라 조교는 까마귀 울음소리를 범죄수사에 쓰이는 ‘성문(聲紋)’ 분석기법을 이용해 시각화했다. 성문분석은 음성 정보에 기록된 특징을 추출해 비교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 까마귀 언어 분석 [사진=NHK 캡처] |
|
쓰카하라 조교는 까마귀 생태 전문가였던 지도교수로부터 ‘까마귀 울음소리 분석’을 연구 주제로 받아 매일같이 까마귀 울음소리를 수집했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까마귀가 “까~까~까~” 우는 것은 먹이를 발견했을 때 동료들에 알리기 위해 내는 소리다. 까마귀 어로 하면 “여기 먹이가 있다”는 의미다.
“깍깍깍”하고 울 때는 매 등의 천적이 가까이 왔을 때 내는 소리다. 까마귀 어로는 “위험하다”에 해당한다. 보금자리로 돌아갈 때는 “콰~콰~”하고 운다. “안전하다”는 뜻이다. 이밖에 “안녕” 등의 인사도 한다고 전해진다.
이에 까마귀로 인해 골치를 앓던 일본 지자체들은 쓰카하라 조교에게 도움을 청했다. 일본에서는 과일 생산지인 야마가타 시 등 지자체가 그동안 까마귀를 쫓는 시도를 했으나 그 효과가 미비했기 때문이다.
 | 드론으로 실험을 준비 중인 쓰카하라 조교 [사진=NHK 캡처] |
|
이에 따라 까마귀 둥지가 있는 야마가타 시청 앞 가로수를 향해 까마귀의 천적인 참매 소리와 까마귀 언어로 “위험하다”는 울음소리를 보낸 후 인근 건물에서 까마귀어로 “안전하다”는 울음소리를 보냈다. 그러자 까마귀들은 가로수에서 건물로 일제히 이동했다. 까마귀 언어로 까마귀를 유도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반면 드론으로 한 실험에는 실패했는데, 처음 보는 드론에 까마귀들이 놀란 것으로 분석된다.
쓰카하라 조교는 “드론 기체를 검게 칠하거나 까마귀 날개를 다는 등 까마귀처럼 만들어 경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인간에게 필요 없는 생물을 없애는 게 아니라 인간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유도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