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대와 30대 직장인 724명을 대상으로 ‘최종 승진 목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41.7%는 ‘딱히 직급 승진에 신경 쓰지 않는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44.6%가 진급에 신경 쓰지 않는다고 밝혀 30대(35.2%)보다 9.4%포인트 더 높았다.
최종 승진 목표의 순위는 남녀 간 큰 차이가 없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승진에 신경 안 쓴다’가 각각 37.7%, 4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원급(남 36%, 여 15%), 부장(남 14.4%, 여 13.1%) 순으로 목표를 잡고 있었다.
최종 승진 목표까지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남성은 56%, 여성은 44.7%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여성의 경우 ‘성차별이 존재해서’(26%), ‘출산, 육아휴직 등으로 경력이 단절돼서’(20.8%) 등의 응답도 나왔다.
현실적으로 승진 가능한 직급으로 남성은 ‘부장급’(29.3%)이 가장 많았고, ‘과장급’(25.4%), ‘차장급’(20.4%) 등의 순이었다.
반면에 여성은 ‘대리급’(43.4%)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과장급’(32.9%), ‘부장급’(9.2%), ‘차장급’(6.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또 직장인들은 회사 내에서 승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업무성과’(34.1%), ‘근속연수’(20.7%), ‘처세술 및 상사와의 관계’(18.6%), ‘적극적인 업무 태도’(11.5%), ‘학연, 지연 등 인맥’(6.4%)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