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김기훈 · 김상훈 교수팀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생체간이식을 위해 시행된 3,348건의 기증자 우엽 간절제술(복강경 329건, 개복 3,019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순수 복강경 우엽 간절제술은 개복 우엽 간절제술보다 기증자 합병증 발생이 더 적었으며, 수혜자의 예후에서는 개복과 큰 차이가 없어 우수한 수술 결과를 보였다.
기증자에서 수술 후 90일 내 전체 합병증이 발생한 비율은 △복강경 0.9% △개복 3.7%로 나타났다. 특히 복강경 수술을 받은 기증자에게 담도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수치로 건강했던 간이식 기증자가 간절제 후에도 건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수혜자의 90일 이내 담도계 합병증 발생률과 장기 생존율에서는 두 수술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담도계 합병증 발생률은 △복강경 18.3% △개복 18.0%였으며, 장기 생존율(5년)은 △복강경 86.2% △개복 85.9%였다. 이로 보아 순수 복강경 기증자 우엽 간절제술이 수혜자의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수술 후 기증자와 수혜자의 합병증 발생에 있어서 문맥과 담도의 변이가 주요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이러한 위험인자를 고려한 신중한 기증자 선별이 수술 안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밝혀냈다.
과거에도 연구팀은 대규모 환자 데이터에 기반해 순수 복강경 기증자 우엽 간절제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복강경 수술 초기에는 기증자의 간 크기 및 해부학적 구조, 수혜자의 체중 대비 간 무게 비율 및 잔여 간 비율 등 조건에 부합하는 간 기증자를 엄격히 선별해 복강경 절제술을 실시해왔다. 그 결과 지금까지 순수 복강경 간절제술을 받은 기증자 중 담도 합병증 발생 ‘0%’라는 전무후무한 결과를 낼 수 있었다.
한편 김기훈 교수팀은 2008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로 순수 복강경 수술을 통해 생체간이식 기증자의 간을 절제하는 데 성공해 의료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기증자의 안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으며, 현재까지 500건이 넘는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해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외과 분야 최고 학술지인 ‘외과학 연보(Annals of Surgery)’ 최신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