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뉴시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공장(서편) 원자재 제련 공장에서 발생한 불이 이날 오후 9시 기준 75%가량 진화됐다.
|
김관호 광주 광산소방서장은 현장 언론 브리핑에서 “화재가 한창 진행되는 동안에는 2공장 전체가 전소될 것으로 예측했는데, 현재 약 60%만 탔고 주불을 잡고 있다”고 발표했다.
김 서장은 “고무들이 타고 있어 방대한 물을 뿌려도 진화가 잘 안되는 상태”라며 “고무들을 태우면서 불을 끄고 있다. 그 불이 잡히면 90% 잡힐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화염이 2동 옆 1동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한 것이 주효했다. 1동은 타이어 완제품 적재창고로 자칫 불길이 1동으로 넘어갔다면 완진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컸다.
소방당국은 이날 자정 이후 1동 불길이 어느정도 잡히면 대응단계도 1단계로 하향할 방침이다.
야간 진화작업에는 중앙119구조단의 고성능 화학차와 특수 진압차량, 소방차 등 장비 153대와 470여 명의 소방인력을 투입했다.
불길이 14시간 째 지속되면서 유독가스와 생고무 연소에 따른 분진 등으로 2차 피해도 발생했다. 광주공장 인근 서라1차·2차, 삼라, 송광3차 아파트 주민 30여 명이 광주여대 체육관으로 대피했다.
광주시와 광산구 등 행정당국은 주민 2차 피해를 확인해 지원할 방침이다.
금호타이어는 수습 완료 시까지 광주공장 생산을 전면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