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이란의 우라늄 농축을 오래전에 막았어야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란의 핵무기 보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로 이어진 게시물에서 “방금 우리 군 지도자들과 좋은 대화를 나눴다. 미국은 역대 최강의 군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상 전례 없는 속도로 무기를 비축하고 있다”며 “부디 이 무기들을 사용할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어떤 무기 체계를 지칭한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란을 상대로 군사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경고로 읽힌다.
|
이란에 민간용 원자로 연료 수준(3%)까지만 지상 시설에서 농축을 허용하고, 지하 핵시설은 일정 기간 가동을 중단한다는 조건이다. 기존에 미국이 요구했던 것보다 완화된 조건이어서 이목을 끌었다. 저농축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 등 민간용으로 쓸 수 있다. 고농축 우라늄은 핵 추진 잠수함이나 핵탄두용 핵분열 물질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실제 협상안엔 한시적·저농축 농축 허용이 포함됐다는 사실, 즉 미국 측의 비공식 제안 사실을 전면 부인한 것이다. 일각에선 이란의 미온적인 반응을 확인한 뒤 제안을 철회한 것일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반면 미국은 이란이 요구하는 제재 해제는 이란이 미국과 IAEA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진정한 의지를 보여준 뒤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성명에서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이란에 수용가능한 제안을 전달했다”며 “이란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것”이라고 말했다.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2일 “미국이 이란 국민에 대한 제재를 실효적으로 해제한다는 사실을 보장하길 원한다”면서 “미국이 이 문제를 명확하게 하지 않으려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