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서울 중구 서울시청년일자리센터에서 열린 ‘청년일자리대책 현장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 이데일리DB) |
|
고용노동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주요 기관장 회의를 개최하고 노동시간 단축,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선언 관련 후속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영주 장관과 이성기 차관을 비롯해 실·국장 및 서울·중부·대전 등 8개 관서장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현안 논의에 앞서 “직원들의 인사·성과 평가 등을 ‘연공서열’이 아니라 ‘업무’ 중심으로 추진하겠다는 취임 당시의 약속을 이행했다”며 “열심히 일해 성과를 낸 직원과 소속기관이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원칙을 철저히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노동시간 단축입법 후속조치 △일자리안정자금 추진현황 △한국GM 군산공장 폐쇄관련 대책 △청년 일자리대책 추진 상황 등 4개 주제에 관해 논의했다.
‘노동시간 단축 입법에 따른 후속조치’와 관련해 김 장관은 철저한 후속조치를 주문하면서 “이번 법 개정을 계기로 장시간 노동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위라는 오명을 벗고 장시간 노동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며 “노동시간 단축이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청년고용 확대 및 일·생활의 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주 52시간의 노동시간 준수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 현장 안착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입법에 따른 현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노사부담 완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실적도 점검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지난 2일 현재 32만3959개 사업장·95만2505명의 노동자가 일자리안정자금을 신청했다.
최근 사회적 현안인 한국 GM 군산공장 폐쇄와 관련해 고용부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관련한 고시 개정에 착수했다.
김 장관은 “관계부처와 지원대책 마련 중으로 가용한 정책수단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며 “지방관서에도 협력업체 현황을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고 노사 동향 모니터링 및 지도 등의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해 김 장관은 “청년들과 함께 대책을 마련 중이며 이달 중 발표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청년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청년 일자리 대책 수립 후에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유튜브 광고 등 청년들이 원하는 매체로 청년 맞춤형 홍보를 추진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