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 노선·환승객 늘리고 신흥시장 운항 확대
11일 정부는 관계부처 장관 회의를 열고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주식 63.9%를 확보한 이날 ‘항공운송 산업 경쟁력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국제선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인도·방글라데시 등 서남아 지역의 운수권을 확대해 신규 네트워크를 조성할 방침이다. 또 운수권은 충분하나 운항이 부족한 아프리카·중남미 등은 부정기편 운항 통한 항공사 시장탐색 및 취항 유도한다.
운수권의 제약이 없는 항공자유화 지역을 증대해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증편 가능한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다만 중국은 수요변화 추이를 보며 중장기적으로 단계적 자유화를 추진키로 했다.
동시에 인천공항의 경쟁력도 강화해 나간다.
또 인천공항 인프라도 확충하기 위해 인천공항 4단계 개발 후속으로 슬롯을 확대하고, 네트워크 연결성을 고려해 항공사 터미널 재배치도 추진한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합병이 결정된 지 4여년만에 기업결합을 완결했다. 이번 기업결합은 항공산업은 물론 대한민국 경제에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라며 “정부는 통합된 항공 네트워크를 효율화하고 서남아 등 신흥시장 운항을 확대하는 등 이동 편의와 기업 활동 지원을 확대해 동북아 허브로서의 지위도 확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의지를 표했다.
◇지방공항, LCC 육성…항공화물 국제선도 확대
정부는 이번 메가캐리어 등장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지방공항과 LCC 육성을 위한 제고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우선 이미 확보된 지방공항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용 운수권의 항공사 취항·증편을 지원하고 항공사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신규취항을 유도하기로 했다. 또 지역별 수요를 고려해 유럽·서남아 등 중장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지방공항 전용 운수권을 확대키로 했다.
이와 함께 계획된 신공항 건설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지역 공항의 운수권 및 슬롯 배분 시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거점 항공사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도 지속 논의하기로 했다.
우리 기업 지원을 위해 항공화물 국제선도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아시아나 화물사업 매각 과정에서 국가 물류망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하게 인허가를 하기로 했다. 또 우리 기업의 생산공장이 위치한 인도에 화물 운수권을 신설하고, 전자상거래 수요가 증가한 중국 화물 운수권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지역 신공항 운영에 대비해 내년 하반기 중으로 개항 전 항공·해운 연계 복합운송 사업 모델 등 구상·마련키로 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항공안전 강화에도 힘쓸 계획이다. 기업결합에 따른 급격한 운항환경 변동 시 신규 운항증명(AOC) 발급 수준의 면밀한 안전체계 검사를 추진하고,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관련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 상반기 중 구축할 방침이다.
박 장관은 “가덕도신공항,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등 신공항 사업과 함께 거점 항공사 육성과 중장거리 국제선 확대로 전국 어디서나 편리한 항공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특히 독과점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없도록 LCC의 취항 노선을 확대해 나가는 한편, 운임과 마일리지로 인한 불이익이 없도록 건전한 경쟁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