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미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12일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도 관세를 매기고 있다. 향후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
우선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등 품목별 대응책은 이미 시행 중이다. 기업의 경영위기 지원을 위해 긴급 유동성 3조원(정책금융 2조원, 현대·기아차 협력 중소기업에 1조원 상생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불공정 수입 대응, 투자환경 개선, 기술력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상황이 더 악화하면 추가적으로 보완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김범석 직무대행은 지난 12일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태스크포스(TF)를 열고 반도체뿐만 아니라 의약품도 미국이 우리 의약품 최대 수출국인 만큼 수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밀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작년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최근 6개월간 국산 의약품의 미국 수출액은 7억 2888만 달러(한화 약 1조 100억원)다. 전년동기 6억 2252만 달러(약 8700억원) 대비 1년 새 17% 증가했다.
정부는 또 석유·화학(석화), 철강 등에 대해서도 대응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키로 했다. 석화의 경우 업계 자율 컨설팅을 토대로 사업재편 원칙과 방향, 금융·세제지원 등이 포함된 ‘사업재편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철강은 고부가·저탄소(수소환원제철 등) 기술개발 등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필수 추가경정예산 중 관세피해·수출기업 금융지원(1조원), 무역보험 보증 지원(3000억원), 수출바우처 지원(2000억원), 유턴기업 및 외국인투자 활성화(400억원), 인공지능(AI) 생태계 혁신(1조 9000억원), 반도체 등 첨단산업 경쟁력 제고(5000억원) 등 약 4조 3000억원 규모의 재정투자로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