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석방 후 지난 8일부터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열흘째 공식 일정이나 메시지를 내지 않고 침묵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관저 복귀 직후 대통령실 주요 참모나 여당 인사를 만나는 일정을 소화한 것을 두고, 탄핵 반대 집회 찬성 등 여론전에 적극 나설 수 있다는 해석이 나왔지만 이후 잠잠한 상황이다. 윤 대통령 측과 대통령실 참모들의 전언에 따르면 헌재 선고 전까지 ‘차분하고 담담하게 결과를 지켜본다’는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윤 대통령이 침묵하는 이유는 ‘헌재 선고에 불리할 수 있다’는 정치적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헌재 파면 결정 당시 선고문을 보면 “(박 전 대통령은) 검찰과 특별검사의 조사에 응하지 않았고, 청와대에 대한 압수수색도 거부하였다”고 명시돼 있다. 탄핵 정국에서 사법 체계를 부정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가 헌재 탄핵심판 심리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
여야가 공개적으로 승복하겠다는 메시지를 내는 것에 대해선 “(여당에서는) 이미 승복 의지를 밝혔기 때문에 민주당이 원하는 대로 여야 당대표 기자회견이나 공동 메시지 등 어떠한 것이든 승복 메시지를 내겠다”고 말했다.
여권 차기 대권 잠룡들도 윤 대통령을 향해 직접 헌재 결과를 받아들이겠다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어떤 결과든 따르겠다는 진정성 있는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는 국가 혼란과 소요 사태를 막을 수 있는 큰 울림이 될 것”이라고 썼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헌재 탄핵심판 수용 여부에 대해 “승복은 선택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침묵하는 윤 대통령은 헌재가 선고일 공지를 하면 입을 열 가능성도 있다. 통상 과거 전직 대통령의 탄핵심판 사례를 보면 헌재는 2~3일 전에 선고일을 공지한다. 현재 기준으로는 20~21일 정도 선고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헌재가 심판의 완결성과 결정문 작성에 공을 들이기 위해 선고가 더욱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