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진 교수는 “조현병의 국내 유병률은 약 0.5~1%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시작되며,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조금 더 많다. 최근에는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기에 진단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조현병은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환청과 망상, 혼란스러운 말과 행동이다. 감정이 무뎌지거나 사람들과 어울리기 어려워져 사회생활이 위축되고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조현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신경생물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부모나 형제가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경우, 태아 바이러스 감염, 출생 시 산소 부족, 극심한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약물 남용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뇌의 신경전달물질, 특히 도파민의 불균형이 조현병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의 기본 치료는 항정신병 약물이다.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증상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지만, 치료를 중단하면 다시 나빠지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크므로, 의사와 상의 없이 치료를 중단하거나 자의로 약물을 조절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약물 치료 외에도 가족 치료, 재활 프로그램 등이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조현병에 대한 명확한 예방 방법은 없지만,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회적인 관계 유지와 정신건강의학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해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 증상 발견에 큰 도움이 된다. 가족력이 있다면,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무기력이나 감정 변화, 집중력 저하, 사회적 위축 등 이상신호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고유진 교수는 “조현병에 관한 가장 큰 오해는 모든 환자가 폭력적이라는 인식이다. 실제로 조현병 환자 중 일부는 병의 증상으로 인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조절될 수 있다. 대부분 환자는 오히려 주변의 편견과 사회적 낙인으로 고립감을 느끼며 어려움을 겪는다. 환자를 비난하거나 방치하는 것보다, 가족들의 올바른 이해, 정서적 지지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