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지난달 선보인 AI 모델 딥시크의 충격이 가시지 않고 있다. 미국과의 갈등으로 첨단 반도체 사용에 제약받고 있는 중국이 AI 기술을 어떻게 세계 최고 수준까지 끌어올렸을까.
|
이우근 칭화대 집적회로학과 교수는 “기준(규정) 만드는 일은 나중으로 미루고, 먼저 시장 창출을 독려하는 중국의 연구개발(R&D) 노력 때문”이라고 규정했다.
중국은 이미 10년 전 세운 ‘제조 2025’를 통해 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기술 자립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 교수는 “AI뿐 아니라 메모리반도체,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중국은 스스로 약하다고 판단하는 기술분야에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다”며 “R&D를 고등교육단계부터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칭와대만 해도 첨단기술 R&D 예산이 연간 7조원에 달할 정도라고 이 교수는 덧붙였다.
중국의 기술개발 집념은 인재 투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교수는 “한 지인이 한국 반도체 업계에서 일하다 중국 기업으로 이직했는데, 회사측이 ‘지금까지 했던 거 대신 새로운 연구를 해보라’는 제안을 했다”면서 “기술 이전을 압박하지 않고 새 도전을 독려하면서 인재를 영입한 식”이라고 전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도 첨단기술 개발 경쟁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단기적인 유행이나 성과에 치중하지 말고 중장기 계획과 세부 과제를 세워 착실히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또 “고등교육인 대학의 자율화·특성화를 장려해 등록금에 의존하지 않고도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인재 개발을 위한 영재 교육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세계 인재들이 이공계로 모이는 상황에서 한국만 유독 의대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는 점을 아쉬워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도 딥시크처럼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할 기업 한 곳만 나온다면 이공계 위상이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