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10일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즈에서 2380개 협력사와 이러한 내용의 ‘2016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했다.
공정위가 2007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공정거래협약은 대기업이 거래 중소 협력업체들과의 상생을 위해 1년 단위로 제시한 공정거래 및 각종 지원에 관한 세부사항을 이행하는 제도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협약에서 협력업체의 자금난 해소와 신규투자 지원을 위해 한 해 동안 총 8681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현대차, 기아차, 모비스는 하도급 대금 현금지급 대상을 종전 연매출액 3000억원 미만 업체에서 5000억원 미만 업체로 확대한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차는 협력사에 대한 대금지급을 공정거래협약 만점 평가 기준인 10일이내보다 빠른 평균 7일 이내에 지급해 협력사의 안정적인 자금 운용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협력사의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구직자 800명을 대상으로 5개월간 직무교육을 실시해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고용디딤돌 프로그램’도 운영하며, 기술지원 전담인력 40명과 연구개발(R&D) 및 품질 지원 전문인력 82명 등 총 122명으로 구성된 R&D 기술지원단도 운영키로 했다. 연구가 끝난 해외경쟁차 주요 부품과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충전장치, 브레이크 안전장치 관련 특허 등을 협력업체에 무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협력업체들의 신기술ㆍ제품을 홍보하는 신기술 전시회를 15차례 개최해 협력업체들의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협력업체들이 서로 신기술을 벤치마킹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재찬 공정위원장은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강화를 통한 경쟁력 있는 기업생태계 구축이야 말로 경제민주화의 진정한 모습”이라며 “내수침체, 해외수요 불안 등 어려운 경제환경을 극복하고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2008년부터 공정거래 협약제도에 참여했으며 11개 그룹사의 1차 협력사(2380개)의 매출이 지난 2010년 95조에서 2015년 163조(추정치)로 72% 증가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