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결렬이다. 모두 빈 손으로 돌아섰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합당 얘기다.
|
|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실무협상단은 27일 국회에서 약 90분간의 회의 끝에 협상 종료를 선언했다. 실무협상단은 당명 변경 등 쟁점 사항에 있어 진전을 이뤄내지 못했다. 실무협상단이 이날 공개한 합의 내용에 따르면 국민의당은 신설합당 시 당연히 당명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현재 당명을 유지하되 추후 대선 후보가 결정되면 후보에게 맡기자고 제안했다.
당협위원장 배분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다. 앞서 국민의당은 20여 곳의 당협위원장, 5곳의 시도당위원장 자리를 공동 운영하자고 주장했지만 국민의힘은 ‘부당한 지분 요구’라고 반발했다. 결국 합의안은 ‘국민의힘 당헌상 1인으로 제한되는 당 기구는 사무총장 간 협의를 통해 경쟁·위원회 구성·병립 방안 등을 검토하여 임명한다’는 정도에 그쳤다.
협상결렬 후 감정싸움…“안 대표 나와라”vs“국민의힘 위한 합당”
양측은 협상 결렬 직후 감정싸움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당 협상단장인 권은희 원내대표는 이날 회의 직후 “이후 양당 실무협상단은 협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은 야권 대통합을 위한 합당을 추진했지만, 국민의힘은 국민의힘의, 국민의힘에 의한, 국민의힘을 위한 합당을 추진하고 있다”고 책임을 돌렸다.
이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지분요구 없다는 말과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시작된 합당 논의는 몇 달사이에 계속 아이템이 늘어났다”며 △당명변경 요구 △29개 당협위원장 공동임명 요구 △시도당 위원장 임명요구 △대선 선출 당헌당규 변경 요구 △당 재정(부채) 승계요구 △사무처 당직자 승계요구 △포괄적 차별금지법 동의요구 등을 언급했다. 특히 대선선출 당헌당규 변경 요구와 포괄적 차별금지법 동의요구에는 물음표를 붙이며 불만을 드러냈다.
“양측 모두 합당 의지 없어…새로운 계기 기다릴 것”
양측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야권분열 상태에서는 정권교체가 어렵다는 공감대 아래 협상에 임했다. 합당의 물꼬는 안 대표가 텄다. 지난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선거 이후 합당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양측은 협상 테이블을 마련했지만 좀처럼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제자리 걸음을 걸었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양측 모두 합당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민의힘이나 국민의당 모두 합당에 큰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며 “다른 계기를 통해 합당의 모멘텀을 찾으려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안 대표의 경우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힘을 합친 뒤 나중에 원샷 단일화 등을 노리는 것 같다”며 “지금 합당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