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찾아보면 현 정권의 유력 인사들, 장관들, 국민의힘 지도부 의원들까지 많다. 굳이 일일이 소개하지 않더라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2023년 4월 워싱턴 선언을 통해 우리나라의 핵확장 억제를 재확인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들어 다시 국민의힘 대권 주자로 분류되는 분들이 핵무장론을 재점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상당히 우려된다”고 했다.
그는 “비상계엄 당시 미국 측에 사전 통보나 배경 설명이 없었다”며 “한미 신뢰 관계가 붕괴된 것이고, 이 비상계엄 충격으로 미국의 시선이 달라진 게 반영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늘 아침 국민의힘 지도부가 야당 탓을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정말 후안무치하지 않은가”라며 “국민을 어떻게 생각하기에 거짓말과 선동을 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에 대한 책임론도 나왔다. 한 대변인은 “1월에 지정됐음에도 두 달간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정부의 무능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최상목 권한대행도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당은 우리나라에 대한 민감국가 지정 철회를 촉구하는 국회 결의안을 추진하겠다”며 “국민의힘이 이에 반대한다면 한미동맹 파탄 세력으로 규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