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행동 정상회의는 2023년 영국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와 2024년 한국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되는 정상회의이며, 전 세계 87개 국가에서 참여하고, 기업, 국제기구, 시민단체 등 총 1000여명이 참석했다.
|
유 장관은 이날 패널토론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제정한 AI기본법 △올해 민관이 함께 구축 예정인 국가 AI컴퓨팅 센터 △초중등 교육부터 최고급 인재까지 양성하는 AI 교육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포용법 △AI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저전력·고성능 AI 반도체 개발 등 한국의 주요 정책들을 전 세계에 소개했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AI를 위한 글로벌 협력에 각 국의 동참을 제안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주요 결과물로 60개 국가가 공동으로 참여한 ‘인류와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AI에 대한 선언문’이 발표되었다.
선언문에는 지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제시했던 ‘안전’, ‘혁신’, ‘포용’이라는 가치에 기반해 AI가 추구해야 할 목표로 ‘공익을 위한 AI’, ‘지속가능한 AI’가 제시되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Action)을 개시하자는 국제사회의 의지가 함께 담겼다.
유상임 장관은 정상회의 기간 동안 미국, EU,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들과 양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유 장관은 미국 린 파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수석부실장을 만나 한-미 간 과학기술 분야 협력 현황 및 양측의 AI 정책을 공유하고, 향후 한-미 간 지속적인 과학기술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EU 기술주권·안보 및 민주주의 수석부위원장, 싱가포르 디지털개발정보부 장관 등을 만나 공동기술개발, 규범 상호인증체계 마련 등 AI 분야 협력과 유럽 국가들과의 호라이즌유럽 협력 등 과학기술 분야의 다양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