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의성에서 일어난 산불은 50대 성묘객이 라이터를 이용해 불을 피운 것이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앞서 의성군 관계자는 실화자가 직접 119에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신고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현장에서는 버려진 라이터가 발견됐다.
괴산1리 마을 주민 A씨도 언론에 22일 오전 11시 24분쯤 불이 난 곳에서 내려오는 성묘객 무리와 마주쳤고 “헐레벌떡 내려오는 성묘객들에게 ‘어디 가느냐’고 물어보니 대답을 못 했다”고 밝혔다.
결국 강한 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번진 이번 산불은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확산하면서 역대급 재앙을 만들어냈다. 28명의 인명피해를 냈고 28일 오전 7시 기준 4만 5170㏊로를 태워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성묘객의 실화로 인해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 난다면 처벌과 함께 산림당국은 산림 피해 및 비용 배상 청구도 할 것으로 보인다.
|
실제 2017년 3월 9일 담뱃불로 불을 낸 주민 2명이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으며, 2016년 4월 6일 충북 충주시 수안보에서 쓰레기 등을 태우다 산불을 낸 주민에겐 징역 10개월이 선고됐다. 또 산림 피해액과 진화 비용 등 8000여만 원의 배상금이 청구된 바 있다.
한편 28일 산림청과 각 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기준 경북 산불의 평균 진화율은 평균 85%를 기록하고 있다.
산불이 처음 발생한 의성군 지역의 진화율은 95%이며, 안동시 85%, 청송군 89%, 영덕군 65%다. 영양군도 화선 185㎞ 가운데 141㎞에 대한 진화가 완료돼 76%로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지난 밤사이 1mm 안팎의 비가 내린 데다 풍속도 느려지면서 산불이 번지는 속도도 느려졌다. 이에 따라 산림청과 각 자치단체는 헬기와 진화 인력 등을 투입해 진화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