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한미 통상당국이 미국의 관세조치와 관련한 두 번째 실무협의에 나선다. 통상 협의 의제가 6개 분야로 좁혀진 가운데, 미국 측이 구체적인 요구 조건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사진=산업부) |
|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이날부터 22일까지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함께 관세조치 관련 ‘제2차 기술(실무)협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 1일 1차 협의 이후 약 3주 만에 실무협의가 다시 열리는 것이다. 1차 기술협의 당시 양측은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입장을 교환했다.
이번 협의는 지난 16일 제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계기로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 회담에서 합의된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6개 분야는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다.
특히 이번 기술협의엔 대미 협의를 총괄하는 산업부 외에도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도 참석한다. 우리 정부 입장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겠다는 의지다.
기술협의 실무 총괄을 맡은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은 “이번 기술협의를 통해 양측이 그간 논의한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호혜적 협의안의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국익 최우선 관점에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