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부적으로 보면 이 후보는 호남권에서 74.4%를 기록했다. 세대별로 보면 40대(66.6%)와 50대(68.9%), 직군으로 보면 자영업자(61.1%)에서 6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후보의 경우 TK(30.8%)와 60대(28.2%), 70세 이상(31.3%)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이준석 후보는 20대에서 12.3%로 전체 결과(4.6%) 대비 2.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고용률이 저조한 이유로는 ‘불경기로 인한 고용 시장 침체 및 정부 정책 미비’가 4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기업 중심의 고용 독점 및 하도급 일자리 확산’(26.5%), ‘청년층의 실무역량 및 취업 의지 부족’(21.9%) 순으로 조사됐다.
경제 양극화의 주된 이유로 국민 절반 이상이 ‘세습으로 인한 부의 대물림’(56.3%)때문이라고 지적했고, 이어 ‘교육·취업 등 기회의 불공정’(23.0%), ‘개인의 노력이나 역량 차이’(12.9%) 순으로 조사됐다.
자본시장 전반에 관한 조사에서 자회사 동시 상장에 대해 국민 10명 이상인 62.2%가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긍정적 인식은 23.4%에 그쳤다. 분할상장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해 53.4%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32.7%는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편법 상속을 위한 의도적 주가 훼손이 국내 경제 전반에 미치는 해악으로 ‘기업 가치가 왜곡되고 가치 평가에 대한 불신으로 한국 시장 신뢰성 상실’에 대한 우려가 65.7%, ‘기업 이미지가 추락하고 정서적 반감을 야기하거나 갈등 고조’가 19.7%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기술특례 상장 기업의 주가 폭락과 상장폐지가 반복되는 주된 이유로 ‘검증 없이 상장된 무자격 기업의 난립’이 42%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증권사·평가기관 간의 유착 구조’(26.6%), ‘투자자 보호 제도 전무’(19.3%) 순으로 조사됐다.
제보팀장의 의뢰로 시행된 이번 조사는 지난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만9772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1명이 응답을 완료, 5.1%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포인트)이다.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 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