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의원, 김예지 의원 다음으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에 공개적으로 찬성 의사를 밝힌 셈이다.
그는 “여당 의원으로서 비상 계엄사태에 대한 가슴 아픈 책임이 있고 국민께 송구하다”며 “표결에 적극적으로 참가해서 찬성할 생각이고 국민의힘 동료 의원에도 적극적으로 표결 참여와 찬성을 독려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비상계엄 사태는 자유민주주의 근간을 뿌리부터 위협한 매우 반민주적이고 반문명적인 국가 범죄”라며 “국민의힘은 국가적 잘못에 대해 국민에 진정으로 사죄하고 여당의 탄핵 참여가 그 시작”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의원은 당내에서 비판이 나오는 것을 두고 “편협한 시각을 가진 일부 보수 정치인과 지지자들이 배신자 프레임 또는 개인적인 공격을 하고 있다”며 “이미 배신자 현수막, 항의 시위, 살해 협박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런 정치는 구태정치이자 조폭 정치”라고 지적했다.
또 “의원은 당론을 중요시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당론이 명백히 잘못됐다면 소신에 따라야 하는 게 국회의원으로서의 큰 의무”라며 “저의 입장을 명확하게 하려고 오늘 기자회견을 자청했고, 이후 선배 정치인들과 본격적인 이야기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차후 원내집행부 구성에도 윤 대통령과 연관이 없는 정치인이 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국민의힘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에 책임 있는 정당이기 때문에 원내 집행부도 그런 의미로 이뤄져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에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거나, 윤 대통령에게 영향력이 있었던 분들이 집행부가 되는 것은 우리 당이 진심으로 반성한다는 메시지를 국민에 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동훈 대표도 윤 대통령과 연관이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한 대표가 윤 정부 중반기부터 잘못한 점에 대해 대립각을 세운 것은 잘한 일”이라며 “한 대표께 잘못된 부분은 분명히 잘못됐다고 말할 거지만, 공과는 구별해서 평가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탈당설에 대해 “이번 참극에 책임 있는 국회의원으로서 탈당한다는 것은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며 “국회에서 욕을 먹고 외롭더라도 바른 목소리 내는 게 국민에 대해 할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