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우리 후보들 사석에서 만나면 ‘잘못된 생각하지 말라. 세상에서 우리가 가장 잘못되길 바라는 사람이 안철수인 것 같다’는 얘길 많이 한다”라며 “안 대표가 경쟁력을 가지든지, (국민의힘에) 지분요구를 하려면 우리가 잘 나가면 안 되지 않느냐. 지금 그 생각을 하는 것 같으니 조심해서 응대하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어떤 경선이든지, 본선이든지, 수렴 효과가 발생한다. 결국은 되는 쪽으로 모인다”라며 “안 대표나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의 지지율은 줄어드는 국면에 접하게 될 것이다. 되는 사람 밀어주자 쪽으로 가면 그 위치에 서있기가 힘들다”라고 덧붙였다.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서는 “(김 전 위원장에게)진상품을 바치든지 조공을 바치든지, 합류해야 한다”라며 이번 대선에서 김 전 위원장 역할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과 ‘앙숙’인 홍준표 의원이 대선후보가 될 경우 김 전 위원장을 앞세우기 힘든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내가 알고 있는 정보로는 두 분이 몇 달 전에 만난 적이 있다”라며 이미 소통을 마쳤다는 것을 애둘러 시사했다.
이 대표는 “누군가는 기 영업자이기 때문에 더 나아진 경영환경 속에서 더 나은 소득을 영위하고, 나머지는 진입 자체가 차단된다”며 “어느 것이 옳으냐는 사실 굉장히 복잡한 문제다. 그 경로가 차단되면 그분들이 행복한가”라고 반문했다.
이 후보가 말한 ‘주4일제’에 대해서도 “자신 지지층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는 2030 젊은 세대에 어필하기 위한 매표 전략이라고 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