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아동보호전문기관’을 현재 11곳에서 14곳으로 확대한다.
신규 기관은 구로구(4월), 서대문구(6월), 관악구(11월)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담 인력도 26명이 늘어난다.
증가하고 있는 학대 신고에 대응하기 위해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도 올해 10명 충원하고, 시간외수당 상한 적용에서 예외를 두는 등 처우도 개선한다. 야간·휴일 상시 대기, 악성 민원 등으로 전담 공무원이 기피 업무가 되고 있단 우려 때문이다.
시는 분기별 예방접종·영유아건강검진 미실시, 장기 결석 등 44종의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활용해 4000여명의 위기 징후 아동 조사를 실시 중이다. 또한 5~6월에는 경찰, 자치구, 아동보호전문기관 합동으로 고위험군 아동(반복 신고, 사례관리·가정방문 거부 등)에 대한 점검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방문형 가정회복 지원사업’은 올해 8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240가정을 적극 발굴해 지원한다.
이 사업은 가정 전체의 회복을 돕는 사업으로, 상담과 심리치료·생활비·교육비를 지원하며, 학대 재발 감소와 가족 간 관계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고 시는 소개했다.
시는 이밖에 아동 학대 예방 캠페인도 추진한다. 아동학대 문제에 대해 시민과 유관기관의 관심을 제고하고자 7~8월 아동학대 예방·대응 사례를 주제로 공모전을 열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해야 할 아이들이 학대로 고통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아동학대 근절을 위해 예방부터 치료, 가족 회복까지 빈틈없는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