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같이 응답한 비율은 40대 이상(30.8%)보다 20대(36.4%)와 30대(34.5%) 직장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공정을 매우 큰 가치로 여기는 MZ세대에게 불공정한 임원, 상식에 어긋나는 관리자는 참을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나와 맞지 않는 회사의 운영 방식 및 가치관’(33.9%)이 꼽혔다. 젊은 세대가 직장을 선택할 때 먹고 사는 문제보다 일하는 방식이나 가치관의 공유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됐다는 해석이다.
‘직장 내 추구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전 세대 공통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50.3%로 가장 중요한 가치로 들었다. 특히 2030 절반 이상이 워라밸을 최우선으로 여긴다고 답했다.
직장인들은 직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로 ‘인정·보상’(44.6%)과 ‘성장 가능성’(35.3%)을 꼽기도 했다. 40대 이상은 보상을 우선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젊은 층은 성장 가능성에 가중치를 뒀다.
직장인들은 업무 몰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명확한 목적과 방향 제시’(49.8%)를 꼽았다 이어 △개인 역량에 맞는 직무와 업무량 부여(48.2%)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인정 (38.2%) 순이다.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감과 설득은 물론 나에게 맞는 역할을 부여하는 조직에 있을 때 업무 몰입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다.
변지성 잡코리아 콘텐츠마케팅 팀장은 “직장인은 회사에서 일만 하지 않는다. 이제는 어떤 사람들과 어떤 분위기 속에서 어떤 가치를 공유하며 일하는 지가 중요한 시대”라며 “단순히 회사의 이름값과 좋은 처우만 좇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가치관과 방향성, 개인의 성장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직장인이 많아진 만큼 기업도 인사와 조직문화 측면에서 더 심도 있는 고민을 동반해야만 인재 유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잡코리아는 HR 플랫폼 본질에 집중하여 AI 기반 맞춤 매칭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직무별 전문 채용 플랫폼을 구축하며 구직자들이 가치관과 부합하는 회사를 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LAB을 통해 세대별 일 가치관을 전하고 커리어 개발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콘텐츠를 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