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은 0.04% 오르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전월(0.08%)에 비해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0.00%→-0.06%)은 보합에서 하락 전환했으며 지방(-0.14%→-0.14%)은 하락폭 유지됐다.
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내 재건축 등 주요 단지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국적인 대출규제 등 영향으로 관망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매매는 서울·수도권은 국지적으로 강한 매수세를 보이는 지역과 수요가 위축되는 지역이 혼재되는 모습을 보이며, 지방은 입주물량 영향 지역,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하는 등 전국 하락폭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는 서울에서 0.01% 상승했으나 수도권(-0.01%), 지방(-0.21%)에선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이 0.15% 내리며 전월 대비(-0.11%) 하락폭을 키웠다.
연립주택도 마찬가지로 서울(0.05%)에선 올랐지만 수도권(-0.04%)과 지방(-0.11%)에서 내리며 전국 가격도 0.06% 하락했다.
전국 주택의 전세가격은 -0.02%를 기록하며 전월대비 하락세로 전환했다.
수도권(0.03%→-0.02%)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 서울(0.02%→0.00%)은 상승에서 보합 전환, 지방(-0.01%→-0.02%)은 하락폭 확대됐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전셋값은 전국(-0.02%)적으로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서울은 보합, 수도권(-0.03%), 지방(-0.02%)은 각각 하락세를 나타냈다.
연립주택은 서울(0.01%)을 제외하고는 수도권(-0.01%), 지방(-0.05%), 전국(-0.02%)에서 모두 내렸다.
단독주택 전셋값은 전국적으로 보합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0.03%)과 수도권(0.03%)에선 상승했으며 지방에서 0.01% 하락했다.
전국은 주택 월세가격은 0.08%로 전월 대비(0.10%)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15%→0.13%)은 상승폭 축소, 서울(0.10%→0.10%)은 상승폭 유지, 지방(0.05%→0.04%)은 상승폭 축소됐다.
부동산원은“월세는 선호지역 위주로 새학기 전세수요 증가 등 국지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입주물량 누적 및 대출여건 악화, 노후 단지 밀집지역 선호도 하락 등으로 전세는 하락 전환, 월세는 상승폭 축소중”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