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번 주(6월 15~21일 기준)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1000명 당 5.8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0~6세는 1000명당 8.3명이 발생했다. 7~18세(1.9명)와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많다. 매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하여 6월~9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환자 발생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발열, 인후통, 식욕부진 및 피로감(권태감) 등이다. 발열 1~2일 후에, 입 안의 볼 안쪽, 잇몸 및 혀에 작은 붉은 반점이 나타나며, 수포 또는 궤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위장관증상(설사, 구토)이 나타날 수 있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 후, 식사 전·후, 기저귀 뒤처리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씻기,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 영유아가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 수칙을 잘 지키도록 안내해야 한다.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증상발생 동안은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면서,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손 씻기 및 물품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는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