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여야 합의안으로 미래 노인빈곤을 해결할 수 없다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정용건 연금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국민의 거의 유일한 노후빈곤대책인 국민연금이 그 역할을 포기해야 할 상황”이라며 “여야 논의에는 보험료 인상만 있지, 보험료를 스스로 부담해야 할 지역 가입자와 자영업자, 특수고용 노동자를 위한 대책은 어디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소득대체율 인상 시 재정안전성 우려에 관해서는 “필요하면 사용자가 비용을 더 부담하거나 국고 투입, 기초연금 조정, 정년연장 같은 다른 방안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일언반구가 없다”며 “소득대체율을 줄여놓으면 청년들이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여지는 사라진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4일 더불어민주당은 △연금에 대한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출산 및 군 복무 크레딧 확대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확대를 요구하면서 여당과 정부의 개혁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여야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인상하는 방안에 일찍이 합의했다. 하지만 소득대체율의 경우 국민의힘은 43%를, 민주당은 44%를 주장하며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민주당이 여당안을 수용함에 따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이르면 이번 주에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을 담은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상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문유진 복지국가청년네트워트 대표는 “21대 국회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드러난 국민의 뜻을 따를 것을 촉구한다”며 “졸속 합의를 철회하고 제대로 된 연금개혁안을 제시해달라”고 국회에 요구했다.
지난해 21대 국회 연금특위 공론화위에서 공개한 시민대표단 설문 결과에 따르면, 명목소득대체율을 50%로 늘리고 보험료율을 13%로 높이는 방안이 과반수(3차 설문 기준, 56.0%)의 지지를 받았다. 이 방안대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조정될 경우 국민연금의 고갈 시점은 2062년으로, 기존 시점보다 7년 연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