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인대재건술은 척추 뼈와 관절, 디스크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고 문제가 된 황색인대만을 제거해 눌린 신경을 감압해 주고 특허 발명한 인공인대로 척추를 안정화하는 최신의 연성안정술(Soft Stabilization)이다. 뼈를 잘라내고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골융합술의 불필요한 광범위 수술 없이도 최소절개 무수혈의 인대 재건으로 척추관 협착증을 원인 치료하는 기술이다.
척추 인대재건술은 섬유 재질의 인공 인대로 묶어 재건하기 때문에 허리 움직임과 유연성에 제약이 없으며 척추 뼈의 퇴행을 재촉하지 않는다. 정중앙 접근법으로 척추 뼈 사이로 들어가기 때문에 정상 조직의 손상 없이 3~5cm 정도 최소한의 피부 절개만 필요하며 출혈이 거의 없고 감염 위험이 적다. 삽입한 인공 인대는 3개월 후면 생착되어 자기 인대처럼 강해진다.
이번 논문은 척추 인대재건술의 실제 치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9년 1월~12월 사이 수술 받은 70세 이상의 다발성 척추관 협착증 환자 45명(3마디 협착 33명, 4마디 협착 12명)을 추적 관찰하고 임상 및 방사선 데이터를 보고했다. 고령의 환자들인 만큼 고혈압(33명), 당뇨병(14명), 고지혈증(17명), 심장병(6명), 뇌질환(6명), 간질환(4명), 폐질환(1명), 암(1명) 등의 기저질환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었다.
환자들의 평균 수술 시간은 수술 부위별로 약 1시간, 평균 입원 기간은 1주일 정도로, 수술 후 MRI 검사를 통해 충분히 신경이 감압되고 동적 X-Ray 검사로 척추 불안정증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허리 통증점수(VAS)는 평균 6.9에서 2.1로, 다리 통증점수(VAS)는 평균 7.3에서 1.8로 효과적으로 개선됐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와 신체 기능을 평가하는 SF-12 점수도 32.2에서 47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