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노벨위원회가 류샤오보를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한 뒤 중국은 공공연히 불만을 드러내왔다. 중국은 10일 예정된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지 못하도록 외교채널을 동원해 압력을 가해 왔고, 서둘러 `공자평화상`을 제정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 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은 노벨평화상 시상식 하루 전날인 9일에 공자평화상 시상식을 열 예정이다. 이는 중국 문화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노벨평화상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수상자로는 대만과의 친선 관계를 고려해 롄잔 전 대만 부총통이 선정됐다. 롄잔 전 부통령 측은 "수상 소식을 들은 적도 없고, 상을 받을 계획도 없다"며 부인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퍼진 상태. 후보자로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 대통령,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티베트 불교의 2인자 판첸 라마 등이 거론됐다.
이와 관련해 유럽과 미국 등 서방국들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지만 중국 측은 참석 대상자가 대거 불참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앙유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8일 100여개 국가와 단체들이 이번 시상식에 불참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유럽연합(EU)과 유럽 내 인권단체들은 이번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불참을 결정한 회원국 세르비아를 비판하고 나섰지만 경제적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결정이 번복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세르비아는 앞서 발전소와 다리 건설 등을 목적으로 중국에 12억달러의 차환을 받기로 한 바 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은 이에 대해 "중국 내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지한다는 명확한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는 현재 감금돼 있으며, 아내 류샤와 인권운동가들은 중국 정부의 공작으로 가택연금 상태이거나 출국 금지 조치를 당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