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총장은 30일 국회 소통관을 방문한 뒤 김 씨의 인터뷰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아침에 제가 일찍 행사를 나오느라 (못봤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또 김 씨의 소득 출처를 밝혀야 한다는 여권의 공세에 대해선 “특별한 입장이 없다”고 밝혔다.
윤 전 총장은 전날 대선 출마 기자회견 전 잠깐 공개했다가 비공개로 전환한 페이스북 계정에 자신을 ‘애처가’라고 소개했다. 해당 페이스북 계정은 이날 오후 다시 살아났다.
|
그는 ‘뉴스버스’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쥴리’니, 어디 호텔에 호스티스니, 별 얘기 다 나오는데 기가 막힌 얘기”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의 유흥주점에서 쥴리라는 예명의 접대부로 일하며 검사들을 알게 됐고, 그 가운데 윤 전 총장을 만났다는 소문을 일축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로, 윤 전 총장과 대척점을 이어가고 있는 추미애 법무부 전 장관도 이날 YTN 라디오에서 김 씨 관련 쥴리라는 이름에 대해 “들어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쥴리였으면 거기서 일했던 쥴리를 기억하는 분이나 보셨다고 하는 분이 나올 것”이라며 “제가 그런 적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게 (사실관계가) 가려지게 돼 있다. 이건 그냥 누가 소설을 쓴 것”이라고도 반발했다.
김 씨는 자신이 윤 전 총장을 만나기 전 과거 유부남 검사와 동거를 했다는 소문에 대해서도 “제집에는 제 친구들도 모여 살았다”며 “누구랑 동거할 시간이 없는데, 어떻게 누구랑 동거를 하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나라 공무원 사회가 얼마나 무서운데, 그 검사는 바본가”라며 “그건 (정치적) 이득을 위한 일방적인 공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거짓과 진실은 반드시 있는데, 목소리 큰 사람이 자꾸만 이긴다”며 “그래도 결국 사실은 사실이고, 진실은 드러나게 돼 있다”고 말했다.
|
김 씨는 2019년 5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나이 차도 있고, 오래전부터 그냥 알고 지낸 아저씨였는데 한 스님이 나서서 연을 맺어줬다”며 “가진 돈도 없고, 내가 아니면 영영 결혼을 못할 거 같았다”고 했다.
그는 또 “결혼할 때 남편은 통장에 2000만 원밖에 없을 정도로 가진 것이 없었고, 결혼 후 재산이 늘긴커녕 까먹고 있었다”면서 “1990년대 후반 IT 붐이 일었을 때 주식으로 번 돈을 밑천으로 사업체를 운영해 재산을 불렸다”고 설명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5일 관보를 통해 공개한 고위공직자 73명에 대한 재산 등록 사항에 따르면 윤 전 총장은 총 71억6908만여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윤 전 총장의 재산 중 대부분은 김 씨 명의다. 윤 전 총장 본인의 재산은 예금 2억4484만 원으로 비중이 약 3%에 불과하다. 김 씨 명의 재산은 2억5932만 원 상당의 경기도 양평군 소재 토지와 15억5900만 원 상당의 서울 서초구 건물, 예금 51억591만 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