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트럼프 정부가 USAID뿐 아니라 연방 교육부, 연방재난관리청(FEMA) 등도 해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 “명백히 불법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다음달 14일이 시한인 예산안 처리와 관련해 공화당에 협조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가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조처를 해야 한다면 우리가 가진 영향력을 사용해 이를 저지해야 한다”며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행위를 지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USAID 해체로) 중국은 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싸울 필요조차 없어졌다”며 “우리의 (USAID) 해체 노력이 중국을 위해 일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어 “이는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 다른 나라 시장에 접근할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매우 가시적이고 우리 국가 안보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기관과 프로그램을 계속 개편할 경우 정부 예산 확보에 필요한 공화당의 표결을 막기 위해 다른 민주당 의원들과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고도 했다. 미 상원은 공화당이 다수당이긴 하지만, 예산안을 통과시키고 셧다운을 피하기 위해선 여전히 민주당의 도움이 필요하다.
김 의원은 또 민주당이 정부 자금 지원과 관련해 공화당과 협상 결렬로 연방 정부가 문을 닫는다면 공화당이 책임을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내부에선 김 의원을 비롯해 다른 의원들도 USAID와 교육부 등의 해체 움직임에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상원 세출위원회 부위원장인 패티 머레이 의원은 지난주 NBC뉴스에 “백악관이 이전 예산 편성 과정에서 승인한 기관별 예산을 삭감하는 상황에서 공화당과 예산 협상을 진행하기 어렵다”면서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법으로 예산이 승인되면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는 신뢰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NBC뉴스는 “이미 민주당 일반 의원들은 당 지도부가 트럼프 행정부에 더욱 강경하게 대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공화당에 반대표를 던지고 정부를 폐쇄하는 것이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