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한해 동안 도내 운영중인 24개 이동노동자쉼터를 이용한 노동자가 총 37만여명으로 2023년(24만여명) 대비 51% 증가했다.
|
작년 이용 통계를 보면 간이쉼터 이용률이 63%(23만여명)로 37%를 차지한 거점쉼터(13만여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도는 올해 역 광장과 상가 지역 공영주차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광명, 용인, 안산, 화성에 간이쉼터 4개소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QR코드나 모바일 인증을 통한 출입관리시스템 자동화로 이용 절차를 간소화하고 불법·무단 사용을 방지해 쉼터의 안전성과 체계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수집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해 운영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노동자들이 휴식 공간을 찾기 어려운 주말 및 심야 개방도 적극 검토 중이다.
쉼터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민관협력회의와 보고회를 정례화 해 이용자와 지역 주민, 관련 기관 및 단체 간 소통을 강화하고 쉼터 운영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조상기 노동권익과장은 “쉼터가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이동노동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복지와 지원이 함께 이뤄지는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동노동자들의 쉴 공간 보장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