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위는 28일 대의원총회를 열어 임시총회에서 결정된 사항과 지역협의회 구성안 등을 추인할 예정이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지역 거점병원 대표를 중심으로 지역협의회장 체계를 도입해 전국 전공의 의견을 고루 반영할 계획이다.
한 위원장은 기존 전공의 7대 요구안을 3가지로 줄여 정부에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보건의료 거버넌스 의사 비율 확대와 제도화 △열악한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이다. 이 중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수련 연속성 보장을 제외한 다른 항목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여서 사직 전공의 행보에 큰 영향을 끼치진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다수다.
전문의 추가시험 시행은 이들의 복귀를 시점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다. 전문의 시험은 연 1회 실시하며 통상적으로 10월부터 접수를 시작해 다음 해 2월 시험을 치른다. 대부분의 전공의 또한 전문의 시험 일정에 맞춰 수련 일정을 맞추기 때문에 2월에 졸업한다.
입대 사직 전공의 정원 보장 또한 사직 전공의 사이에선 중요한 이슈다. 군대 갔다 온 전공의가 수련병원에 정원이 꽉 차 다른 병원을 알아보거나 최악에는 다른 진료과로 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입대 사직 전공의 정원을 별도로 보장해 수련 연속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정부 측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복지부는 최근 대한의학회와의 회의에서 전문의 추가 시험 시행 여부에 대해 ‘추가 소요분 예산 지원 어려움’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대 사직 전공의 정원 보장 또한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야 하는 사항으로 현재로서는 확답하기 어렵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교수 사회에서도 ‘안 들어올 거면 들어오지 마’라며 강경한 태도도 있고, ‘그래도 어떻게든 받아줘야지’라며 특례를 주장하는 교수도 있다”면서 “확실한 것은 일 년 넘게 지속한 이 사태 속에서 전공의들이 교수들을 적으로 간주한 자세가 지금 독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